건강/의학정보 / / 2023. 2. 10. 15:00

아기 뇌진탕 증상 (아기 낙상 사고 대처 방법)

반응형

아기 뇌진탕 증상 (아기 낙상 사고 대처 방법)
아기 뇌진탕 증상 (아기 낙상 사고 대처 방법)

 

아기가 침대에서 떨어지는 낙상 사고는 생각보다 빈번히 일어나고 있어요. 낙상 또는 머리를 부딪힌 경우, 뇌진탕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나 아기들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혹시라도 머리를 부딪히거나 아기 가 낙상한 경우, 발생하는 뇌진탕 증상을 미리 알아두어 대처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아기 낙상 사고 후 증상과 뇌진탕 증상을 미리 숙지하셔서 아기 낙상 사고 시 빠른 대처 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아기 낙상 사고 이렇게 대처하세요.
2. 아기 낙상 사고 후 증상 체크 리스트
- 아기 낙상 후 위험 신호 증상
- 아기 뇌진탕 증상
3. 주의 사항

 

 

 

1. 아기 낙상 사고 이렇게 대처하세요.

뇌진탕은 머리를 어떠한 물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거나, 직접적인 충격이 아니더라도, 가속 또는 감속에 의해 뇌가 손상을 입은 경우를 말합니다. 대부분 갑자기 쓰러지면서 머리를 바닥 또는 물체에 부딪히거나, 침대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낙상으로 인해 발생하죠. 물론 머리는 언제나 외상에 더욱더 주의해야 하겠지만, 불가피한 낙상 사고로 인한 경우 뇌진탕 초기 증상을 의심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뇌진탕으로 인한 증상은 어지러움, 메스꺼움, 두통, 청력저하, 이명, 불면증, 시력이나 청력 저하, 미각과 후각 저하, 피로감 등을 나타나지만, 아기들은 이러한 증상에 대하여 의사표현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증상으로 판단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아기 낙상 사고가 바로 뇌진탕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외에 다른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낙상 사고 후 증상을 먼저 확인 후 대처 또는 응급실로 가셔야 합니다. 단, 낙상 후 눈에 보이는 심각한 외상이 보인다면 바로 구급차 또는 응급실로 가셔야 합니다.

 

  • 10분 정도 아이를 진정시켜 주세요.
  • 조금 진정이 되었다면, 머리 외에 다른 외상은 없는지 확인해 주세요.
  • 외상이 없다면, 아래 증상들이 발현되지는 않는지 체크해 주세요.
  • 지금 당장 증상이 없다고 하더라도, 최소 3일~7일까지는 계속 지켜 봐 주세요.

 

 

2. 아기 낙상 사고 후 증상 체크 리스트

아기들이 머리를 심하게 부딪히는 경우는 거의 낙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부모는 당연히 놀랄 수밖에 없고, 바로 응급실부터 떠올립니다. 하지만 보통 약 1m 이내의 높이에서 떨어졌거나, 멍이나 외상이 없이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라면, 최소 3일에서 1주일 정도 지켜본 후, 증상이 나타난다면 그때 병원으로 가시면 됩니다.

 

단, 지연성출혈이 있을 수 있으니, 낙상 후 72시간 동안은 더욱더 주의 깊게 지켜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후 일주일 내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발현된다면, 응급실을 바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기가 떨어지면서 심각한 외상을 입었거나, 목이 과하게 꺾인 경우 역시 119 또는 응급실로 바로 가야 합니다. 

 

[주의하세요!]
아기 낙상 후 기절 또는 목이 과하게 꺾여 보인다면, 응급실을 가기보다 119를 부르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 낙상 후 위험 신호 증상

  • 부딪힌 부분에 멍 또는 부어오르는 증상이 있는 경우
  • 분수토를 하는 경우(분수토가 아닌, 낙상 전 섭취한 음식이 아기가 심하게 울면서, 역류하여 올리기도 합니다.)
  • 물도 잘 먹지 못하거나 몸이 축 늘어지는 경우
  • 아기를 불러도 눈의 초점이 흐려지거나 의식이 저하되는 경우
  • 걸을 때 중심이 흐트러지거나 걸음걸이가 이상한 경우
  • 빛 또는 큰 소리에 과민 반응을 보이는 경우
  • 의식을 잃었거나 얼굴이 1시간 이상 창백한 경우
  • 발작을 일으키는 경우
  • 20분 이상 울음이 그치거나 전혀 진정되지 않는 경우
  • 코나 귀 속에서 피 또는 맑은 액체가 흘러나오는 경우

 

 

 

아기 뇌진탕 증상 (아기 낙상 사고 대처 방법)

 

 

 

아기 뇌진탕 증상 

  • 두통 또는 잘 시간이 아닌데 자꾸 눈을 감거나 잠을 자는 경우
  • 아무것도 먹지 않았음에도 분수토를 하는 경우 (2회 이상)
  • 앉아있을 때, 또는 서있을 때 균형을 잘 잡지 못하는 경우
  • 그 외에 의사소통이 가능한 유아 또는 아동의 경우, 일반적인 뇌진탕 증상이 있는지 여러 번 확인하세요.

 

 

3. 주의 사항

1) 사지의 움직임에 문제가 있거나, 오랫동안 우는 경우는 병원 이동시, 머리 또는 몸이 흔들리지 않게 하세요.

2) 놀란 아이를 달래기 위해 기응환 또는 청심환을 먹이지 마세요.

3) 골절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응급실보다는 구급차를 부르세요.

4) 머리가 심하게 부풀어 올랐거나, 외상이 심각한 경우 몸의 열이 오를 수 있으니, 보온은 하지 마세요.

5) 골절인 경우, 또는 의심이 되는 경우는 전신마취를 해야 할 수도 있으니, 음식이나 음료를 삼가세요.

 

※ 주의사항 출처 :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